제5강 천간의 이해 제5강 천간의 이해 1. 甲(木) 甲은 하늘로 치솟는 성질을 가지며 거북의 등딱지, 껍질, 씨의 껍질 등을 뜻하며 고집이 세고 자기만의 세상에 빠져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甲이란 문자는 밭(田) 한가운데에 뿌린 씨앗이 땅 밑으로 뿌리를 내린다는 뜻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초목의 최초생장, ..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3.26
천간과 지지 제4강 천간과 지지 1. 오행의 천간지지 분화 〚자평진전〛에 이르기를 오행이 있는데 무슨 까닭으로 또 10간, 12지지가 있는 것일까? 대저 음양이 있고 이로 인하여 오행이 생겨난 것이니 오행의 가운데에는 각각의 음양이 있는 것이다. 즉 木을 가지고 논하자면 甲, 乙은 목의 음양이 되고, ..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3.25
제3강 오행의 상생과 상극 제3강 오행의 상생과 상극 1. 오행의 상생 오행은 하루라는 음양이 사계절이라는 오행을 지나가는 현상이고 오행이 서로 상생하고 또한 서로 상극함으로써 사계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극(剋)이란 생(生)을 절제하여 그치게 함이니 만물을 수렴하고 발설하는 기틀이 된다. 오행의 상생(相..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