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2강 대운과 세운1 지난 시간에는 운7, 기3의 기3에 해당하는 사주팔자! 사주의 기본 틀이라 할 수 있는 8글자를 정하는 방법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운7에 해당하는 運!, 계절마다, 1년, 10년, 길게는 30년마다, 주기적으로 바뀌는 運!, 대운과 세운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단..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4.15
제11강 사주정립법 지난 시간에는 사주팔자의 주인공인 일간과 나머지 7글자와의 관계를 나타낸 육친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사주팔자를 도출해내는 방법인 사주정립법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는데 사주팔자는 아시다시피 요즘은 만세력을 이용하거나, 컴퓨터프로그램. 어플 등을 이용할 ..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4.09
제10강 육친(六親) 지난 시간에는 천간의 기운의 정도를 살펴보는 12운성, 그리고 12신살, 사주명조와 세운에서 만날 경우 無와 부존재를 의미하는 공망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사주팔자의 일간을 기준해서 만나는 나머지 글자와의 관계를 의인화시키는 것을 육친이라 하는데 오행의 생극..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4.08
제9강 12운성, 12신살, 공망 지난 시간에는 지지의 합, 충, 형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천간과 지지의 관계인 12운성에 대해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천간이 지지에 어느 정도의 기운을 가지고 있는 지를 살필 때, 그리고 대운이나 세운에서 육친의 흐름을 파악할 때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제9강 12..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4.05
제8강 지지의 합,충,형 제8강 地支의 합, 충, 형 Ⅰ. 지지의 合 1. 지지 육합(六合) 1) 지지육합의 의미 지지 육합은 양기와 음기가 합하여 9성수를 채우는 합으로서 12지지가 서로 합하여 6개의 합이 된다는 뜻에서 6합이라 하고 지혜, 생산, 총명의 의미를 가지는 긍정적인 합이다. <지지의 육합> 양의 기운 : 子+..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4.03
제7강 천간 합과 충 제7강 천간의 합(合)과 충(沖) 1. 천간 合 천간 合은 일명 干合이라고도 하며 정신적인 끌림을 뜻하며 가장 이상적인 合이다. 예를 들어 甲己(合)土의 경우를 살펴보면 甲의 입장에서 己는 육친으로 정재가 되며 己의 입장에서 甲은 육친으로 정관이 되는 관계로 부부지합(夫婦之合)이라고..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4.01
제6강 지지와 지장간의 이해 제6강 지지와 지장간 이해 1. 12地支 1) 子(水) 아들 子는 갓난아기를 본 뜬 글자이고 쥐띠를 상징하게 된 것은 번식력이 좋고 곡식을 축내는 것을 두려워해서이고 12지지 중에서 첫 번째로서 ‘불어나다“, ”계속하다“는 뜻을 가지고 있다. 절기로서는 대설의 시기를 말한다. 확장∶ 야간,..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3.29
제5강 천간의 이해 제5강 천간의 이해 1. 甲(木) 甲은 하늘로 치솟는 성질을 가지며 거북의 등딱지, 껍질, 씨의 껍질 등을 뜻하며 고집이 세고 자기만의 세상에 빠져 살아가는 경우가 많다. 甲이란 문자는 밭(田) 한가운데에 뿌린 씨앗이 땅 밑으로 뿌리를 내린다는 뜻을 형상화한 것으로서 초목의 최초생장, ..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3.26
천간과 지지 제4강 천간과 지지 1. 오행의 천간지지 분화 〚자평진전〛에 이르기를 오행이 있는데 무슨 까닭으로 또 10간, 12지지가 있는 것일까? 대저 음양이 있고 이로 인하여 오행이 생겨난 것이니 오행의 가운데에는 각각의 음양이 있는 것이다. 즉 木을 가지고 논하자면 甲, 乙은 목의 음양이 되고, ..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3.25
제3강 오행의 상생과 상극 제3강 오행의 상생과 상극 1. 오행의 상생 오행은 하루라는 음양이 사계절이라는 오행을 지나가는 현상이고 오행이 서로 상생하고 또한 서로 상극함으로써 사계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극(剋)이란 생(生)을 절제하여 그치게 함이니 만물을 수렴하고 발설하는 기틀이 된다. 오행의 상생(相.. 강의록(신사주학)/기초강의 2019.0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