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기초무료강좌 62

경술일주의 배우자선택(궁합과 이혼사주)

우리나라 통계청 조사에서 2023년 결혼인구는 193.7천명이고이혼은 92.4천명으로 조사되었다. 10년전 2014년 결혼 305.5천명, 이혼 115.5천명에 비하면결혼대비 이혼률이 많이 줄어들었다고 할 수 있으나 그 만큼결혼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조성의 문제점이 심각함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오늘은 사주명리상에 이혼사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니다.결론적으로 사주팔자에 이혼하는 사주는 없습니다.단지 잦은 갈등과 다툼 등 여러가지 이유때문에 별거하거나 이혼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있습니다. 위에 보여지는 辰월, 경술일주의 경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경술일주는 괴강살로 표현될 정도로 보스기질이 강하고 생활력이강하다. 가정에서는 모범적인 가장으로서, 사회.직업적으로는 리더로서 그 활동력이 활발한 일주입니다...

금메달리스트 사주(비겁과 양인)

일간대비 같은 오행을 육신으로 "비겁"이라고 한다.비겁이 월지에 있을 경우 자기 중심적이고 고집이 세다. 비겁의 행동양식은 독립, 협력, 경쟁, 투쟁의 방식으로 문제해결을 한다.일찍부터 경험을 통해 능력치를 향상시키고 전문가로서 주변을포용할 정도의 독자성을 갖추고 나면 리더로서 활동하게 된다. 사주팔자에 비겁의 세력이 많거나 월지에 비겁이 있어서 직업으로 사용을 하고 있다면 전문가로서 고려해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천간이 지지에 뿌리내린 기운의 정도를 12운성이라 하는데 '제왕지'에놓여 있는 것을 신살에서는 "양인"이라고 표현한다. 양인의 기운은 칼로 베고 자름을 의미할 정도로 그 쓰임이 잘못되면신체손상이 커서 "양인살"로 표현될 정도로 사고나 흉액이 따를 수도 있다. 사주팔자에 비겁이나 양인을 뜻하는 ..

오늘의 일주(정미일주, 홍염살)

오늘은 정미일주의 배우자궁, 未 식신의 작용에 대해 살펴봅니다. 태양의 열기가 그대로 느껴지며 매력이 한 껏 뿜어지고 있는 丁(火)일간입니다.젊음과 패기가 갈무리되어 있으며 건드려지면 폭발할 것 같은 모습이네요^^. 배우자궁에 식신이 있다함은 배우자에 대한 표출, 표현, 발산의 기대치가 높다는 뜻이기도 합니다.명주 내면의 마음과 욕구가 쉬이 발산될 수 있고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배우자 인연이 필요하고 기대됩니다. 정미일주는 未에 인성이 입묘되고 寅卯가 공망되므로 꾸준하게 기다리고 노력해야 얻을 수 있는 도덕성과 인내력의 작용이 두드러지게 취약합니다. 신살에서는 여자명주에 해당할 경우, 이러한 명주의 폭발적인 매력과 기대치에 반해 배우자성인 관성의 작용력이 미약하여 "홍염살"로서 붉고, 고은 매력이 煞로 표..

무오일주의 성정과 인연(양인살의 직업)

戊일간은 양의 극단으로서 태양의 일몰직전에 석양을 상징한다. 오행 土에 해당하므로 정착성, 중간, 중개력이 있으며 무토는 양이 극단에 이르러 음으로 바뀌기 직전의 상태로서 양과 음의 중간자적 기운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일간 무토의 성정은 중용을 지키며 모험심이 강하고 적극적인 행동가로서 책임감이 강하고 신용을 중히 여기며 주체의식이 강해 독선과 아집이 강해 상대방의 말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중용의 성향탓에 속내를 알 수 없고 분명치 않은 표현이나 인간관계로 인해 오해를 살 수도 있지만 두루 원만한 인간관계로 인하여 중개역할로서 장점이 있어서 직업으로 영업, 중개행위에 적합성을 보이기도 한다. 무오일주는 무토의 생성소멸과정을 나타내는 12운성에서 천간戊는 午에 가장 절정기인 "제왕지"로서 10성의 정인..

경술일주 4월(진술충 역마작용의 직업활용)

병진월 경술일주는 고집스럽고 주체성이 강한 명주로서 직업으로 조직생활을 할 경우 辰戌충의 영향하에 잦은 우여곡절이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진술충의 작용모양 그대로 활용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직업활동이 가능하다. 충의 작용은 역마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진술충 작용의 직업활용방법으로서 구체적인 형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庚금일간에게 戌은 관성과 인성입묘, 辰은 식상입묘로서 진과 술이 서로 상충하는 형태로서 충의 작용에 의해 입묘의 작용력이 상당부분 상쇠되니 입묘작용은 별도해석하도록 하고 상충작용의 뜻을 음미해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충은 시작, 충전, 파괴, 이별의 작용이니 운로의 과정과 환경에 따라 해석이 다를 수 있으니 충분한 상담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사주원국에 진술충이 가..

계묘년 일간별 운세풀이 2탄(시험운, 취업운)

1탄에 이어서 일간별 계묘년 운세풀이를 합니다. 먼저 계묘년의 癸卯는 흑토끼, 즉 그 겉모양이 어둡거나 보이지 않는 색상, 공간을 뜻하고 그러한 형상을 한 유연성 있는 밤에피는 꽃과 같은 질적인 모양이나 현상들을 짐작해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대표적인 물상확장을 해 보면 보이지 않는 공간인 인터넷이나 어두운 시간때인 밤에 활동 및 표현 등으로 적시해 볼 수 있는데 이를 일간별 사용되는 육친별로 해석을 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기토일간에게 계묘년은 편재/편관입니다. 우선 기토일간은 무토와는 달리 수렴, 하강, 응축, 저장을 위한 음을 조장하는 기운으로서 하늘의 구름에 해당한다. 태양을 가려서 음으로 향하고 품는 기운이 강하여 성정이 표현력에서 감추어지는 경향이 두드러져서 상대로부터 오해를 자아낼 수도 있..

오늘의 명리(입묘와 외로움)

오늘은 2022년 10월 31일, 임인년 경술월 정사일입니다. 시월의 마지막 날이며 경술월의 마지막 주일이기도 하죠. 술월은 압력이 높아서 묘, 진일에는 하는 일이나 현상에서 뒤집혀 질 수도 있는 달입니다. 가을이 짙어져 잎사귀들이 하나 둘씩 떨어지면 오.핸리의 "마지막 잎새"의 감성이 피어 오르기도 합니다. 문득 쓸쓸하고 외롭다는 생각에 두려운 마음과 고독감에 휩싸여 눈물이 핑 돌기도 해요. 가족들과 화목하게 살다가 피치못할 사정에 가정을 잃게 되어 홀로 남게 되면 경제적으로 풍요롭더라도 나이들고 의지할데 없다는 생각에서 우울증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외롭고 쓸쓸함은 춥고 어두운 날이면 더욱 가중됩니다. 명리학상으로 어둡고 외로움은 음양에서 음, 오행에서 水, 그래서 간지로 표현되기를 경술월, 임술월에 ..

오늘의 일주(경술일주, 부부인연과 전공선택)

오늘은 2022년 10월 24일, 임인년 경술월 경술일이다. 월주와 일주가 같은 이천이지, 괴강살로서 강한 기질을 가진 사주이기도 하다. 환경과 시기를 대표하는 월주에서 보여주는 술월은 가을의 막바지 로서 추수를 하고 나서 겨울을 준비해야 하는 시기로서 戌은 입묘와 입고, 즉 겨울의 북풍과 찬기운을 시작하기위한 준비로서 여름의 남풍의 기운을 억제시키고 뜨겁고 밝은 기운을 견제하는 역활과 가을에 수확해 놓은 곡식을 저장보관해야 하는 창고로서 기능을 해야한다. 경일간에게 여자의 경우 배우자는 火, 즉 관성이 여름의 기운과 운동성에 해당한다 . 경술일주의 배우자 궁, 戌은 관성입묘, 재성이 양지에 해당된다. 경술일주의 경우 관성과 인성이 묘지에 해당하여 간섭을 싫어하고 참을 성이 부족하여 각각 배우자의 작용력..

오늘의 일주(무술일주, 괴강살과 직업)

오늘은 2022년 10월 12일, 임인년 경술월, 무술일입니다. 오늘의 일주인 무술일주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주상에 일간은 사주 주인공의 성정을 가장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일간인 천간 戊는 태양지 지고 난 뒤의 저녁노을, 즉 석양을 상징합니다. 그리고 펼치고 발산하는 양운동의 극단으로서 만물이 무성함을 뜻하고 오행 土로서 음양의 중간역할 등을 감안하면 물상으로서 토목, 성곽, 대지, 부동산 등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기운과 운동성은 명주의 내면의 특성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무토 일간의 내면의 성정은 추진력이 강하며 야망이 크며 책임감이 강하여 신용을 중요시 여기며 중개자로서 역할을 잘 하지만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는 특성으로 인해 오해를 받기도 합니다. 무술..

오늘의 일주(을유일주, 물상확장과 성정 및 직업선택)

오늘은 2022년 9월 29일, 임인년 기유월 을유일입니다. 오늘 태어난 일주, 을유일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일간 을은 하늘에서 바람을 상징하고 갑목이 초봄으로서 위로 솟구치는 기운이라면 을은 늦봄에 해당하며 다소 부드럽고 유연한 음의 기운으로서 초가을의 기운에 해당하는 庚을 짝으로서 乙庚합이되어 서로 깊은 영향력을 준다. 을은 木, 즉 봄에 만물이 소생하는 기운과 운동성에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는 양적인 활동성을 나타내는 갑목과 목이라는 근원적인 기운에 결실을 위한 꽃을 이룬 이후의 수정단계를 일컫는 음적인 활동인 을목으로 구분된다. 을목은 그래서 외적인 활동보다는 내적인 표현과 미묘한 작업의 여러가지 물상으로서 직업, 성향 등 확장이 가능하다. 갑목이 양적인 활동으로 시작의 기운인 기획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