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7

무오일주의 성정과 인연(양인살의 직업)

戊일간은 양의 극단으로서 태양의 일몰직전에 석양을 상징한다. 오행 土에 해당하므로 정착성, 중간, 중개력이 있으며 무토는 양이 극단에 이르러 음으로 바뀌기 직전의 상태로서 양과 음의 중간자적 기운으로 해석이 가능하다. 일간 무토의 성정은 중용을 지키며 모험심이 강하고 적극적인 행동가로서 책임감이 강하고 신용을 중히 여기며 주체의식이 강해 독선과 아집이 강해 상대방의 말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중용의 성향탓에 속내를 알 수 없고 분명치 않은 표현이나 인간관계로 인해 오해를 살 수도 있지만 두루 원만한 인간관계로 인하여 중개역할로서 장점이 있어서 직업으로 영업, 중개행위에 적합성을 보이기도 한다. 무오일주는 무토의 생성소멸과정을 나타내는 12운성에서 천간戊는 午에 가장 절정기인 "제왕지"로서 10성의 정인..

경술일주 4월(진술충 역마작용의 직업활용)

병진월 경술일주는 고집스럽고 주체성이 강한 명주로서 직업으로 조직생활을 할 경우 辰戌충의 영향하에 잦은 우여곡절이 있음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러한 진술충의 작용모양 그대로 활용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직업활동이 가능하다. 충의 작용은 역마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진술충 작용의 직업활용방법으로서 구체적인 형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庚금일간에게 戌은 관성과 인성입묘, 辰은 식상입묘로서 진과 술이 서로 상충하는 형태로서 충의 작용에 의해 입묘의 작용력이 상당부분 상쇠되니 입묘작용은 별도해석하도록 하고 상충작용의 뜻을 음미해볼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충은 시작, 충전, 파괴, 이별의 작용이니 운로의 과정과 환경에 따라 해석이 다를 수 있으니 충분한 상담이 필요한 부분입니다. 사주원국에 진술충이 가..

병진월 병오일주(직업과 배우자인연)

병오일주는 밝고 명랑하며 예를 중시하는 성향의 일간 병화가 자신의 배우자의 자리에 상관과 겁재를 둔 모양새로서 배우자에 대한 명주의 행동양식과 인식방법을 나타낸다. 상관과 겁재를 동시에 갖고 있으니 배우자에게 필요시 지극정성을 다하는데 평소 간섭이나 통제를 기피하는 성향이 강하게 두드러지게 표현된다. 배우자와 협력관계보다는 오히려 경쟁과 투쟁의 개념이 앞서니 한쪽이 완벽하게 수용하는 입장이 못된다면 잦은 분쟁을 겪게 되므로 병오일주 부부의 원만한 행보는 장기출장 등의 이유로 별거형부부 또는 명주의 기운에 순종하거나 전적으로 도와주는 배우자역할이 필요할 것입니다. 신살에서는 병오일주를 양인살로 칭하는 이유가 그만큼 기운이 강하여 자신의 주장과 고집이 대단하기 때문이다. 병진월에 병오일주는 월주에 비견.식신..